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AICE] 공인인증된 Associate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 공유
    AI 2025. 5. 10. 16:29
    반응형

    [본 내용은 [AICE] 공인인증된 AICE Associate 시험 후기 및 시험 전 꼭 알아야 할 꿀팁!👍 과 이어집니다.]

    (※ 밑에 공부 방법에 대한 요약이 있으니, 바쁘신 분들은 아래에 있는 "Associate 공부법 3줄 요약"을 참고하세요😊)

     

     

    드디어 5월 10일인 오늘❗

    아침 9시에 AICE Associate 시험 결과가 나왔습니다.

    결과는 바로(두근두근) ~❗🫢

    AICE Associate 시험 결과

    지난 포스트에 말씀드렸던 열악한 환경에도 불과하고, 다행히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😂

    시험 합격을 한 기념으로, 제가 공부했던 방법과 몇 가지 시험 TIP들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.

    AICE Associate

     

    공부 방법✏️

    o 샘플 문항 문제 암기

    AICE에서는 실제 시험환경과 동일하게 모의시험을 볼 수 있도록 샘플 문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
     

    접속 경로: AICE 접속 ➡️ 상단 내비게이션 바의 "AICE 시험"에 있는 "샘플 문항" 클릭 ➡️ AICE Associate 샘플 문항 클릭(URL: https://aice.study/certi/practice)

     

    AICE

    KT가 개발하여 한국경제신문과 함께 주관하는 인공지능 능력시험입니다.

    aice.study

     

    샘플 문항에서는 시험과 동일하게 총 14문제가 나오며, 머신러닝의 전반적인 흐름에 맞춰 문항이 출제됩니다.

    이에, 샘플 문항은 AICE 시험을 치르시기 전에 1일 1독 하시는 것을 권장 드려요❗

    시험의 형태를 외우시고, 샘플 문항에서 사용하는 함수들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외우기 전 익숙해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. 

    또, 익숙해져야 외우기 쉬워지니까요😊

     

     

    o 선형 회귀 공부하기

    선형 회귀는 머신러닝을 배울 때에 가장 먼저 배우게 되는 머신러닝 기법 중 하나예요!

    머신러닝의 전반적인 학습과정을 배우고, 딥러닝의 기본이 되는 DNN(Dense Neural Network)과 가장 닮았기 때문에 딥러닝을 이해하기도 가장 좋은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.

    이에 선형 회귀가 무엇이고, 학습과정을 공부하시면, 딥러닝을 공부하실 때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서 추천드립니다❗

     

     

    o 다중 분류 및 이진 분류 문제 풀어보기

    샘플 문항에서는 회귀(Regression) 문제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, 다중 회귀 및 이진 분류 문제 또한 공부하셔야 해요.

    iris 데이터를 통해 다중 분류를 풀어보시고, titanic 데이터를 통해 이진 분류 문제를 풀어보시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❗

    ※다중 분류 및 이진 분류 기출 문제가 존재 하지 않아, 직접 만들어서 푼 문제를 아래 링크로 공유드립니다.

    - 타이타닉 생존자 분류 문제(이진분류): [AICE] 타이타닉(Titanic) 데이터 셋을 이용한 이진 분류 ASSOCIATE 기출 문제✏️

    - 아이리스 품종 분류 문제(다중분류): [AICE] 아이리스(Iris) 데이터 셋을 이용한 다중 분류 ASSOCIATE 기출 문제✏️

     

     

    o 시각화 함수 및 데이터 분석, 전처리 함수 공부하기

    시험에서는 시각화 처리 및 데이터 분석, 전처리가 나오고 배점도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.

    (👉데이터 분석: 40점, 전처리 및 시각화:24점, 모델링: 36점)

    이에, 딥러닝 및 머신러닝만 공부해서는 안되며 결측치 처리, 이상치 처리, 상관관계 구하기 등 다양한 함수를 공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     

    ※아래 포스팅을 통해, AICE Associate 시험과 관련된 AI 지식을 얻어가신다면 이해에 도움이됩니다👍

    - Batch Normalization(배치 정규화): [AI] 배치 정규화(Batch Normalization)란?

     

     

    시험 볼 때 TIP❗

    ① tab 키 활용
    tab 키를 활용하면, 라이브러리에 있는 함수를 끝까지 치지 않아도 자동 완성 기능을 통해 아래의 사진처럼 어떤 함수를 사용할지 뜨게 됩니다.

    시험을 볼 때 함수의 이름이 일부분만 기억이 나는 경우너무 길어서 외우지 못한 경우, tab 키를 활용하게 되면 시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👍

    시간을 단축해서 어려운 문제에 시간을 더 투자해 보자고요!

     

     

    ② shift + tab 키 활용

    shift + tab 키를 활용하면, 함수 사용 방법을 출력해 줍니다.

    함수에 무슨 파라미터를 넣어야 하고, 각 파라미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려주는 스크롤 창이 출력되게 됩니다.

    위의 사진을 보게 되면 pd.read_csv에 들어가게 되는 파라미터가 출력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

    함수에 대한 사용 방법이 기억나지 않는다면, AICE 시험 환경(jupyter notebook)에서 지원하는 "오픈북 허용 사이트"를 활용해야 합니다.

    하지만 shift + tab 키를 활용하게 되면 빠르게 함수의 용법과 넣어야 하는 파라미터를 파악할 수 있어서,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습니다.

    (참고로 시험을 볼 때, 오픈북 허용 사이트에 있는 documentation에서 함수를 찾을 경우 사이트 접속이 느려서 너무 답답하더라구요...🥹)

     

     

    Associate 공부법 3줄 요약

    1. 1일 1샘플 문항을 풀어보며, 머신러닝의 흐름과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인 함수를 암기하자❗
    2. 선형 회귀를 공부해 보며 머신러닝의 학습 방식을 공부하자❗
    3. 데이터 분석, 전처리와 시각화 함수들, 분류 문제(이진, 다중 분류)를 공부하여 Asso 문제에 대비하자❗

    AICE Associate를 보려고 하시는 모든 분들의 합격을 기원합니다👍
    감사합니다😊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